반응형 git 프로그래밍/기타 2020. 4. 11. Sourcetree (소스트리) 사용법 Google에서 소스트리를 검색하면 맨 처음 소스트리 홈페이지가 나온다. 들어가면 떡하니 다운 받으라고 좌측에 다운로드 버튼이 있다. 다운 받고나서 설치를 하면 계정 등록하라고 나온다. Atlassian계정을 눌러서 구글 로그인을 하거나 계정을 만들자 등록을 마치면 설치를 계속 진행하면 된다. SSH 키를 불러오겠냐고 물어보는데 '아니오'를 누르면 된다. 소스트리 맨 처음 나오는 화면이다. 로컬 저장소는 내 PC에 있는 저장소를 뜻한다. Create, Add, Clone이 있는데 본인에게 맞는 것을 선택하면 된다. Create - 새로운 저장소를 만든다. Add - 기존에 만들었던 것을 추가한다. Clone - 기존에 만들었던 것을 복사한다. 나는 Parabola 라는 유니티 프로젝트가 만들어져 있고 A.. 프로그래밍/기타 2020. 4. 8. GitHub (깃허브) 사용법 제일 먼저 Google에서 '깃 허브'를 검색하자. 맨 처음 나온 GitHub 사이트를 눌러서 홈페이지로 진입하면 된다. 홈페이지에 진입 후 제일 우측 상단에 'Sign up' 버튼을 눌러보자 (큰 초록색 버튼 "Sign up for GitHub"를 눌러도 된다.) 로그인 하라고 나오는데 우리는 처음 진입하였으니 계정이 없다. 아래쪽에 파란색으로 "Create an account."라고 적힌 문구를 눌러 계정을 생성하자 계정 이름과 평소 사용하는 이메일 그리고 패스워드를 입력 후 계정을 생성한다. 계정이 만들어지면 화면 좌측에 New를 눌러보자 새로운 리포지토리를 생성한다. (새로운 저장소를 만든다는 것이다.) 리포지토리 이름 - 프로젝트 명을 적으면 된다. 설명 - 프로젝트 설명을 적으면 된다. 공개 .. 프로그래밍/기타 2020. 4. 8. GitHub (깃허브) GitHub를 알기 위해서는 Git부터 알아야 한다. Git이란, SVN처럼 버전 관리 프로그램을 말한다. 모바일 게임을 예로 들어보자. 서비스를 시작할 때 버전을 1.0으로 시작하였다. 그리고 이것저것 컨텐츠를 추가하여 버전 1.1로 업데이트를 하려고 한다. 그런데 버전 1.1에 문제가 발생하여 1.0으로 되돌려야 한다면? Git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해준다. 작업물을 저장소에 버전별로 저장하고 필요에 의해 전부 되돌리거나 일부만 되돌릴 수도 있다. 또한 기록이 남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 문제가 발생했는지를 파악하기 쉽다. (회사 생활을 하다보면 팀바팀이지만 범인 찾기를 참 좋아한다.) 이러한 Git을 이용하여 소스 코드를 호스팅하는 웹 서비스가 바로 GitHub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서비스하는 소셜 ..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