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호 수학/초등수학 2020. 11. 4. 나눗셈 - 어떤 수를 다른 수로 나누는 계산 1. 나눗셈의 의미 포함제 - 같은 양이 몇 번 들어 있는지 알아보는 의미 등분제 똑같이 나누어 한 부분의 크기를 알아보는 의미 2. 나눗셈의 몫과 나머지 - 8 ÷ 2 = 4와 같은 나눗셈식에서 4는 8을 2로 나눈 몫이라고 한다. - 9 ÷ 2 = 4와 같은 나눗셈식에서 9를 2로 나누고 나면 4라는 몫이 나오지만 1이 남개 되는데 이것은 나머지 값이라고 한다. 3. 나눗셈 기호 ÷의 유래 - 1659년 스위스의 란 이라는 수학자가 1659년에 출판한 '대수학'이라는 책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 비율을 나타내는 기호 ':'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4. 나눗셈의 몫과 나머지값의 기호에 대한 이야기 - 컴퓨터 상에서 나눗셈을 할 때 키보드에 ÷ 기호가 없기 때문에.. 수학/초등수학 2020. 11. 2. 곱셈 - 사칙연산 중 하나 - 2개 이상의 수나 식을 곱하는 계산 - 2 x 5와 같이 'x' 기호만을 사용하여 나타낸 것을 '곱셈'이라고 한다. - 2 x 5 = 10과 같이 'x' 기호와 '=' 기호를 사용하여 곱셈을 나타낸 등식을 '곱셈식'이라고 한다. - 2+2+2+2+2=10처럼 2를 5번 더한 덧셈식은 2x5=10의 2를 5만큼 곱한 곱셈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곱셈 기호 'x'의 유래 - 'x'는 1631년 영국의 수학자 윌리엄 오트레드(William Oughtred, 1574~1660)가 고안하였다. - 방식을 나타내는데 일일이 문장으로 쓴다는 것이 불편했던 윌리엄이 곱하기도 (+, -)처럼 기호가 있길 바랬는데 어느날 길을 걷다가 교회의 십자가를 우연히 발견하여 고안하였다고 한다. (그의 저서.. 수학/초등수학 2020. 10. 25. 연산 기호(+, -)의 유래 (+)와 (-)기호는 1489년에 계산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독일의 위드만 또는 비드만(John Widman)이 과부족의 의미로 사용하기 시작하다가 차츰 덧셈(+)과 뺄셈(-)의 기호로 사용하게 된 것이다. (+)기호는 라틴어로 '및' 또는 '~과'를 의미하는 et을 빨리 쓰는 과정에서 (+)가 되었다고 한다. (-)기호는 minus의 머릿 글자 m을 빨리 쓰는 과정에서 (-)이 되었다고 하는 이야기도 있다. [아울북] 초등수학 개념사전 : 교과서 옆 필수구비서 COUPANG www.coupang.com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RememberCook 9월 28일 정식 출시! 두번째 게임인 RememberCook이 출시되었습니다. 귀여운 캐릭터들이 나오는 간단한 게임이..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