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lgorithm 프로그래밍/알고리즘 2020. 12. 7. AStar Algorithm (에이스타 알고리즘) 길 찾기에서 흔히 사용되는 AStar 알고리즘 입니다. 간단히 요약해보자면 용어 설명 openList = 갈 수 있는 길 closeList = 이미 지나간 길 current = 현재 위치 NeighborNode = 탐색한 길 이동비용 = 도착지점까지의 거리라고 생각하면 된다. 가중치 = 일반적으로 직선 : 10, 대각선 : 14 1. CreateNode : 맵을 만든다. 2. SetTargetLocation : 시작지점과 도착지점을 구한다. 3. PathFinding : 길 찾기 알고리즘을 한다. - 시작지점을 openList에 담는다. - openList 중에 이동 비용이 낮은 길을 찾아 current에 담는다. - current를 openList에서 지우고 closeList에 담는다. - curren.. 프로그래밍/알고리즘 2020. 4. 9. algorithm (알고리즘)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효율적인 절차 알고리즘의 성능분석 a. 계산복잡도 (시간 복잡도와 공간 복잡도로 구분) - 알고리즘 수행에 걸리는 시간과 알고리즘 수행에 필요한 메모리가 얼마인지를 나타낸다. - 현재는 플랫폼의 성능이 좋아져서 시간복잡도를 우선시한다. (대부분의 프로그램 환경에서 공간에 대한 비용보다 시간에 대한 비용이 더 많이 들기 때문) (메모리가 중요한 특정 환경에서는 공간복잡도가 우선이라고 한다.) b. 시간 복잡도 - 입력 값에 따라 알고리즘의 수행에 걸리는 시간을 말한다. - 단순히 시간으로 계산하면 테스트 환경에 따라 성능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입력 값에 따른 연산의 수행 횟수를 뜻한다. - 지정문, 조건문, 반복문에 대하여 수행 횟수를 계산하면 된다. (지정문 : 특정 ..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