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View 프로그래밍/디자인패턴 2020. 4. 9. MVVM (Model-View-ViewModel) - Model View ViewModel의 약자 - 프로그래밍을 할 때 Model, View, ViewModel로 구분하여 설계하는 방법이다. -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이벤트 중심 프로그래밍을 간소화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 Ken Cooper 및 Ted Peters가 개발하였다고 한다. (2005년 John Gossman의 블로그에서 발표되었다고 한다.) 각자의 역할은 아래와 같다. 1. Model - 데이터를 보유 또는 가공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 편집하길 원하는 모든 데이터들을 가지고 있다) - View와는 서로 모르는 관계를 갖는다. 2. View - UI등 무언가 화면에 보여주기 위한 역할을 한다. - ViewModel과는 Command패턴으로 DataBinding 되어 있다. 3. Vi.. 프로그래밍/디자인패턴 2020. 4. 9. MVP (Model-View-Presenter) - Model View Presenter 의 약자 - 프로그래밍을 할 때 Model, View, Presenter로 구분하여 설계하는 방법이다. - MVC 모델의 단점을 보안하기 위하 고안된 패턴이다. 각각의 역할은 아래와 같다. 1. Model - 데이터를 보유 또는 가공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 편집하길 원하는 모든 데이터들을 가지고 있다) - View와는 서로 모르는 관계를 갖는다. - Presenter와는 요청을 받고 그 요청에 맞는 정보를 가공하여 전달해줄 뿐의 관계다. 2. View - UI등 무언가 화면에 보여주기 위한 역할을 한다. - 화면에 보여주는 역할 외에는 그 무엇도 관여해서는 안된다. - Presenter에 간접적으로 버튼이 눌렸음 정도만 알린다. - Model과는 서로.. 프로그래밍/디자인패턴 2020. 4. 9. MVC (Model-View-Controller) - Model View Controller 의 약자 - 프로그래밍을 할 때 Model, View, Controller로 구분하여 설계하는 방법을 말한다. - View와 Controller는 내부 속성 값을 가져서는 안된다. 각각의 역할은 아래와 같다. 1. Model - 데이터를 보유 또는 가공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 편집하길 원하는 모든 데이터들을 가지고 있다) - Controller로부터 데이터의 가공을 요청 받아 수행한다. - 가공된 정보를 Controller에게 돌려준다. - 가공된 정보를 View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2. View - UI등 무언가 화면에 보여주기 위한 역할을 한다. - 화면에 보여주는 역할 외에는 그 무엇도 관여해서는 안된다. - 간접적으로 Controller에 버.. 이전 1 다음 반응형